한국e스포츠협회는 ‘LCK 리그 법인’이 주최·주관하고 협회가 총괄 운영하는 ‘2025 LCK CL’ 정규 시즌의 주요 사항을 공개했습니다.
LCK CL 2025 정규 시즌 운영 방식
올해 LCK CL 정규 시즌은 기존과 달리 단일 시즌으로 진행되며, 약 6개월 동안 진행됩니다. 대회는 **MSI(Mid-Season Invitational)**를 기준으로 나뉘며, 시즌 시작부터 9월 말까지 치러집니다.
MSI 이전에는 LCK CL의 10개 팀이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1·2라운드를 치릅니다. 성적에 따라 상위 5개 팀은 챌린지 그룹, 하위 5개 팀은 트라이얼 그룹으로 나눠집니다. MSI 이후 3라운드부터는 각 그룹 내에서 트리플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됩니다.
최종적으로 5라운드까지의 성적을 합산하여 시즌 플레이-인과 플레이오프 진출 팀을 결정합니다.
챌린지 그룹과 플레이오프 진출 방식
챌린지 그룹 1위와 2위 팀은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 직행하며, 3위와 4위는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 진출합니다.
챌린지 그룹 5위와 트라이얼 그룹 1~3위 팀은 시즌 플레이-인에 참가하여, 최종 승자와 준승자가 플레이오프 5번 시드와 6번 시드를 차지하게 됩니다.
플레이-인과 플레이오프는 각각 듀얼 토너먼트와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며, 모든 경기는 5전 3선승제로 치러집니다.
상금 및 시상 내역
‘LCK CL’ 정규 시즌 총상금은 9,950만 원입니다.
- 우승 팀: 4,000만 원
- 준우승 팀: 2,500만 원
- 3위 팀: 1,500만 원
- 4위 팀: 750만 원
- 정규시즌 MVP: 250만 원
- ALL CL 선정 선수(5명): 각 100만 원
- 베스트 코치: 200만 원
- 결승 MVP: 250만 원
개막전과 경기 일정
정규 시즌 개막전은 31일(월) 오후 2시에 열리며, T1 이스포츠 아카데미와 KT 롤스터가 첫 대결을 펼칩니다.
이어 오후 4시에는 농심 레드포스 vs OK저축은행 브리온, 오후 6시에는 DRX vs 한화생명e스포츠 경기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경기 장소와 티켓 정보
정규 시즌 오프라인 경기는 **WDG 스튜디오 홍대(서울 마포)**에서 진행되며, 티켓은 경기 시작 72시간 전부터 티켓링크에서 예매 가능합니다. 현장 키오스크에서도 발권할 수 있으며, R석 기준 10,000원으로 판매됩니다. 한 사람당 최대 4매까지 구매할 수 있습니다.
중계 및 방송 정보
중계진으로는 심지수, 이성훈 캐스터와 김동준, ‘뉴클리어’ 신정현, ‘쿠로’ 이서행 해설이 참여합니다. 인터뷰어로는 권이슬, 김옥영 아나운서가 함께합니다.
온라인 생방송은 네이버 e스포츠, LCK CL 공식 유튜브, SOOP, 치지직에서 시청할 수 있습니다.
후원 및 협력사
‘2025 LCK CL’은 ‘LCK 리그 법인’이 주최·주관하고, 한국e스포츠협회가 총괄 운영하며, 방송 제작은 WDG, 후원은 우리은행이 맡고 있습니다.
LCK CL 팬들은 공식 SNS에서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막전을 시작으로 6개월간 펼쳐질 치열한 승부! LCK CL의 새로운 챔피언을 기대해봅시다.